산수양조장 호모루덴스(생탁주, 500ml, 12% ABV)
정말 깜짝 놀랄 정도로 단맛이 없는 술. 버섯/장류의 쿰쿰함, 시큼한 청사과 향, 거기에 짠맛까지 다 있는데 어쩜 딱 단맛만 없다. 탄산은 없고 질감/무게감도 보통 정도. 좋게 말하면 고운 곡물맛 바탕의 깔끔한 감칠맛이라고 할 수도 있겠지만... 내 입엔 맛있다고 하기 어려웠다. 백련 미스티에서 느꼈던 곰팡이/먼지맛 같은 쿰쿰함도 있는 데다 균형을 받쳐 줄 최소한의 단맛마저도 없다는 인상.
왜인지는 모르겠으나 워낙 유명하기도 하고, '프리미엄 탁주' 중 가장 드라이하다는 어떤 댓글 제보도 받은 터라 꼭 마셔보고 싶었던 술이다. (내 입에는 역시 단맛이 살짜쿵 부족했던) 송명섭 막걸리를 즐기는 취향에는 호모루덴스도 잘 맞을듯하다. 동정춘과 마찬가지로 소매가는 약 1.2만원, 주점에서의 구매가는 2.7만원. 와... 이렇게까지 단맛만 쏙 뺄 수 있구나, 알 수 있었다는 데 의의를 둔다.
'🥂 술 > 전통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막걸리 - 해창 막걸리 (10) | 2018.03.03 |
---|---|
막걸리 - 이상헌 탁주 (9) | 2018.02.18 |
막걸리 - 호모루덴스 (9) | 2018.01.26 |
막걸리 - 산수 동정춘 (10) | 2018.01.26 |
막걸리 - 덕산 생막걸리 (2) | 2017.12.04 |
막걸리 - 양촌양조, 우렁이쌀 Dry (0) | 2017.12.04 |
학부 때 호모루덴스를 줄쳐가며 읽었는데,
내용이 하나도 기억나지 않아서 문득 슬퍼집니다.ㅋㅋ
올려주시는 리뷰 읽어보면 막걸리도 전집에서 파는 것들 말고 마셔보고싶단 생각이 드는데...
아무래도 단독으로도 홀짝거리기 쉬운(?) 맥주나 와인, 위스키와는 다르게
막걸리는 안주가 있어야 할 것 같은 느낌이네요.
복순도가 정도는 가끔 병으로 사다 마시는데 말이죠.
섞어먹어도 맛없을 것 같아. 이상한 시도하지 말고 도문대작 많이 마시자.
오잉? 시중 막걸리에 넘쳐나는 게 (대부분은 인공 감미료에 의존한) 단맛인데,
이 제품은 의도적인 건지는 몰라도 단맛을 배제한 술이군요.
왠지 이름과 맛의 색채가 좀 이질적인 느낌입니다. +_+
그러게 막걸리는 왠지 단맛 빼고는 상상하기 힘든데 엄청 궁금하기는 하네요.
일단 이름부터ㅋㅋㅋㅋ 특이하구요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