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원 쿠시카츠 쿠시엔
1-2년 전부터 은근히 유행 타고있는 것 같은 하이볼. 그리고 이 하이볼 유행은 일본에서 온 것 같다. 일본식 주점을 중심으로 산토리 위스키 로고가 붙은 큼지막한 잔에 나오는 하이볼이 제일 전형적인 듯. 잔과 위스키를 빼고도 요 일본식 하이볼은 주로 토닉 워터/진저 에일 등 달달한 음료를 섞어서 (서양식) 바에서 마시던 하이볼보다 단맛이 훨씬 강하다. 모르긴 몰라도 소설 개츠비에서 개츠비가 마시던 하이볼은 위스키에 탄산수만 섞은, 더 세고 훨씬 담백한 하이볼이었을 듯. (그런데 왜 그런건지 모르겠는데, 최근 1년간 일식 주점에서 마신 소다 하이볼은 맛있었던 적이 없다. 항상 탄산은 다 죽고 밍밍하니 이상한 위스키 미즈와리가 나와서... 나중에는 정신 건강을 위해 그냥 진저 하이볼만 마시게 된다...)
산토리 가쿠 하이볼 (L) / 산토리 진저 하이볼 (R)
아무튼, 탄산 음료의 맛이 섞인 일본식 하이볼은 나름의 매력이 있다. 도수도 더 낮고, 단맛이 있어서 그야말로 탄산음료처럼 꿀꺽꿀꺽 시원하게 넘기기 좋움. 게다가 여기 홍대 불나방의 가쿠 하이볼은 상큼한 레몬맛이 특히 더 강하다. 사장님께선 다른 곳보다 위스키를 더 넣는 편이라고 하셨는데, 정말 센 음료 맛에도 가리지 않고 위스키의 향이 났다. 이날 나는 진상손님처럼 '위스키 많이 타주세요!!!!'를 외쳤는데 사람좋게 웃으시며 정말로 원하는 만큼 따라주심ㅎㅎㅎㅎㅎ 진저 하이볼은 당연히 설탕/생강 향이 더 났는데, 그것보다 인상깊었던 건 어느가게나 기본 (소다/토닉워터) 하이볼보다 탄산이 더 셌다는 것! 오른편의 진저 하이볼 사진에서도 보글보글 기포가 확연히 더 올라오는 것을 볼 수 있다. 가격은 보통 7-8천원선.
'🥂 술 > 칵테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칵테일 - 그래스호퍼Grasshopper (15) | 2016.05.29 |
---|---|
칵테일 - 스미노프 그린애플? (14) | 2016.05.22 |
칵테일 - 위스키 하이볼 (23) | 2016.05.10 |
칵테일 - 모히또? (9) | 2016.04.23 |
칵테일 - 모스코 뮬Moscow Mule (7) | 2016.04.16 |
칵테일 - 플레이밍 B-52 (12) | 2016.04.03 |
저기는 정말 언제 한번 꼭 가봐야겠어요! 일본식 하이볼 되게 궁금했는데... 탄산음료 맛이 섞였다니 되게 궁금해요
ㅁ...뭔가 홍대 불나방 포스팅같지만..!?ㅋㅋㅋㅋ 알콜섞인 탄산 느낌이라....
술의 세계는 참 무궁무진하군요.
모르던게 너무 많아요~ 저야 모 소맥에 소주만 알았지만 ㅋ
덕분에 공부 많이 하는데 자랑할 사람이 없네요
아 진짜 맛있겠다 ㅠㅠ 정작 난 몇년전에 일본 다녀온 이후로 하이볼을 한번도 마셔본적이 없네. 위스키 많이 타주세요!! 라고 말할수 있는 용기가 있는건 매우 부럽꾼..
야키토리나 가라아게같은 일본식 안주랑 먹음 매우 좋겠당.
하이볼 사진 정말 예뻐요!! 레몬 조각과 유리잔 덕분에 청량한 느낌이 한가득입니다. :D
전 진저하이볼이 끌립니다. 아.. 진저에일을 사러가고 싶어요. ㅋㅋㅋㅋ
비밀댓글입니다
일본에서 유행한거가 국내 들어온게 맞아요.
일본은 하이볼. 맥주 소비가 많다고 하드라구요.
실제로 제가 음식점에서도 맥주. 하이볼 마시는
사람들이 많이 보이고. 고기집에서도...
바에가도 가볍게 하이볼로 워밍업해서
위스키 cs로 달리는 분들도 계시고요.
국내에서도 혼마구로 오마카세 전문점에서
그렇게들 드시는 분들도 많더라구요.
스타트는 맥주나 하이볼로 시작해서 와인으로
속좀 다지다가 위스키 캐스크 스트렝스 계열로 진입..ㅎ 여기서 캐스크 스트렝스는 원액을 의미해요.
물을 안태운 원액이다 보니 도수가 58도 60도 가량
합니다. 캐스크 스트렝스는 줄여서 cs라고 표현하구요. 캐스크는 통이고 스트렝스는 힘이란
뜻인데..원액으로 보면 되더라구요.
보통의 위스키는 원액에서 물을 태워서 도수를
40~48도 정도로 낮춰서 먹기 좋게 출시를
하거든요. 그런데 물을 태우면 본연의 향과 맛이
좀 약해지고 누그러지는 경향 때문에..
위스키 매니아들의 상당수가 cs를 추구하는
경향이 많더라구요. 저 또한 cs가 아니면
요즘 손이 잘 안가게 되는...
고도수는 조금만 마셔도 취하기 때문에
많이 마시지 않는다는 점은 있지만 잘 취하는거라
빨리 취하고 빨리 깬다는 점이..ㅎ
작년인가.. 산토리에서 치타 위스키도 출시했더군요
아직 국내에 공식 수입업체가 없던데..
일본에서 3300~3500엔 가량 하더군요.
돈키호테 식료품 파는 매장에도 갔다 놓는 걸 보면
주류 천국이긴 합니다. 간단한 꼬냑. 위스키 엔트리급
들은 동네 마트에도..편의점에도 갔다 놓고 파는데..
국내 편의점에서 파는 종류보단 종류도 더 많더군요.
어쨋든 치타 위스키는
그레인 위스키라 그냥 마시면 뭔가 빠진 맛..
그래서 하이볼로 광고가 나오더군요.
실제로 일본의 산토리사에서는 위스키를
대중화 시키기 위해 하이볼용을 일부러 만들게
되었다고 하더군요. 사람들이 그 전에는
일본 전통 사케에 빠져 있었으니까요.
익숙한 하이볼을 통해 위스키 맛을 알아가게 되는..
오키나와 쪽으로 가면 아와모리가 유명하고
종류도 엄청 많더군요. 그쪽 지방은
쌀이..필리핀. 베트남쪽에서 재배하는 쌀종류를
쓴다고 들었어요. 중국인들이 밥먹을 때
젓가락으로만 먹는 밥..그런 쌀 종류라고 하더군요.
그쌀로 만든 술들이 종류가 많은데 아직 경험해
보진 않았습니다.
아. 그러고 보니 일본에 가면
4000엔 정도에 천사의 유혹이라는 고구마 소주가
있어요. 셰리 오크통에 고구마를 증류한 술을
7년인가 숙성한 소주거든요. 도수는 40도..
나중 기회 되시면 한번 드셔보셔요.
일본 여행하면 특산품이란 개념의 술..ㅎ
국내에선 값이 2배 조금 넘는 가격이 최저가.
술집에서 먹으면..15만원 가량 할려나..
뭐든 기회 있을때 바틀로 구매해서 먹는게 가장
저렴히 먹을 수 있는거 같습니다.
작년인가...일본 드라마 "맛상"을 보면
드라마 주인공이 닛카.야마자키 증류소의 창시자인
다케츠루 마사다카를 일대기로 하는 드라마라..
자국내 야마자키 위스키를 다시한번 쳐다보게
되는 계기가 되어 소비열풍이 부는 바람에..
일본 면세점에서 야마자키 12. 18.21년 전부
품절 상태인 경우가 많더라구요.
그리고 가격도 너무 터무니 없게 오랐구요.
중국인 관광객들이 눈에 띄면 싹쓸이한다는군요.
그러고 보면 우리나라도 중국인 광관객들이
꼬냑 중에 헤네시 구형을 싹쓸이해갔다고들
하고...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헤네시를 즐겼다고..
탈북한 일본인 요리사가 쓴 책..."김정일의 요리사" 란
책에 나오더군요.ㅋ 북한에서도 고위층 관료들이
뇌물로 헤네시 꼬냑을 많이 샀다고들 하고..
중국의 공산당 간부글도 꼬냑 중에 헤네시 매니아가
많아서 사재기 한다고도 하고..
이번에 중국의 모 대기업의 임직원 8천명이
한국에 포상 휴가를 왔다던데..
파장 효과로 400억 매출 신장 예상한다는군요 서울시가...ㅎ
뉴요커들이 이젠 옛날의 가난한 중국인들이
아닌거 같습니다. 전 꼬냑 중에선 헤네시. 마르텔을
좋아하거든요. 헤네시 가격도 너무 올라서...
다른 꼬냑에 비해 2배 가까이 높네요.
지금은 다니엘 부쥬..폴 지로. 장 피유 같은
가당질 안한 꼬냑으로 갈아탔는데..
헤네시. 마르텔이 단맛은 더 강하긴 한데..ㅎ
제 친구는 마르텔 vsop 맛이 한약같다는군요.
하..이거 술 이야기 한도 끝도 없이 나오네요.ㅎ
주님은 사랑입니다.ㅋ
진저하이볼 +_+
탐나네요 향긋할거같아요
전에 신토리 세미나에서
하이볼관련 내용을 들었는데
왜 유행하게 됐는지...
기억이 가물가물 합니다..
뜨든...+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