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청난 몸값을 자랑하는 Glenmorangie Signet
음... 어... 예전에 패트론 XO Cafe↖를 나눠주셨던 분이 한 잔 킵해두고 가셨다기에 감사히 마신 술. 어찌 된 영문인지 얼떨떨하지만... 일단 영화같은 일이 생긴 것에 신나는 마음만 갖기로 했다ㅎㅎㅎ 비싸서 맛볼 생각도 안 해봤던 술인데 이렇게 공짜로 마실 기회가 생기니 신이 나긴 났다ㅎㅎㅎㅎㅎㅎ 술을 따르며 바텐더님이 해주신 설명은: 보통의 위스키는 피트를 태워서 맥아를 건조시키는데 글렌모렌지에 사용된 맥아는 커피처럼 로스팅 과정을 거치는 것이 특징이라고 했다. 이렇게 볶은 맥아는 달달한 초콜렛 향이 나서 '초콜렛 몰트'라고 한다고. 스타우트의 커피/초콜렛 향도 볶은 맥아에서 온 걸 생각하니 이해가 잘 갔다.
한 입 마신 소감은 질감이 정말 부드럽다는 것. Creamy, silky 같은 단어가 딱 떠올랐다. 사람들의 시음 후기를 보면 보통 커피/초콜렛 같은 향을 많이 언급하는데, 나는 와인/포도/베르무트/셰리 같은 검붉은 베리류와 견과류의 고소한 향이 더 인상적이었다. 그렇게 처음엔 부드럽게 산뜻달달하다가 뒤에선 스파이시한 맛도 올라온다. 퀸타 루반에서 맛봤던 나무 끝맛이랑 비슷한 느낌인데, 맛에 기승전결이 있다면 시그넷에 더 잘 조화롭게 어울리는 느낌이다. 퀸타루반에서는 좀 뜬금없이 훅 올라왔음. 한 잔 다 마시고 나니 왠지 피칸 파이가 떠올랐다.
가격만 아니면 한 잔 시켜두고 천천히 음미해가며 마시는 재미가 있을 위스키. 가격을 고려하지 않으면 맛있었고, 만족스러웠는데 이게 두세배 비싼 값어치를 하는지는 모르겠다. 가격은 면세점 기준 18만원 정도, 바에선 잔당 약 2-4만원.
'🥂 술 > 위스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스키 - 오반Oban 14 (4) | 2016.05.28 |
---|---|
위스키 - 하쿠슈Hakushu 12 (4) | 2016.05.28 |
위스키 - 글렌모렌지 시그넷 (25) | 2016.05.05 |
위스키 - 글렌모렌지 퀸타 루반 (7) | 2016.05.05 |
위스키 - 와일드터키81/레어브리드, 잭다니엘, 에반 윌리엄스 (12) | 2016.04.30 |
위스키 - 불렛라이, 메이커스 마크, 올드파, 버팔로 트레이스 (9) | 2016.04.17 |
오오, oui님 드시라고 술을 킵해놓았다니 친절한 분이네요! :D
위스키 중에서 이렇게 비싼 건 많이 못 본 것 같아요. 면세 가격도 꽤 높군요.
고급 위스키는 조니워커 블루만 알고 있었는데..ㅋㅋ 역시 술의 세계는 무궁무진합니다. +_+
와 잔단 2~4만원에 면세 가격도 18만원이요? 세금이 붙으면 얼마나 할지 감도 안 잡히네요 @_@
그건 그렇고 맥아를 볶아서 만든 술이라면 흑맥주 비슷한 걸 증류해서 만든 술인가요?
룸메에서 못 먹어봤다고 댓글 단 사람입니다.
이거 살 가격이면 글렌드로낙 싱글 캐스크가
눈에 들어오거나..달모어 킹 알렉산더 3에 눈이..ㅠ
잔술 먹을 기회 생기면 먹어봐야 하는데.
그것도 여의치 않네요
잔당 2~4만원....
와...부드럽고..처음엔 달달하지만 뒷맛은 스파이시한
글렌모렌지 시그넷 진짜 궁금하네요
2년안에 도전하겠습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위스키도 종류가 다양하네요!
그래?님께서 올리신 위스키들 나중에 따로 모아서 한 잔씩 마셔보고픕니다 *_*
가격이 비싸네요..아닌가? 사실 술은 잘 몰라서요ㅋ
잘 보고 갑니다. 감사해요~
이리 좋은분이 있으실까? 저도 소개좀 ㅋㅋㅋㅋ
아무래도 oui님한테 흑심이? ㅋㅋ
달모어는 영화. 킹스맨 때문에
많이 알려져서 작년초부터 품귀 현상이
생기더군요. 말모어 12년.15년..이제
국내에선 못 구해요.
면세점 가야 12.15.19.30년 구할 수 있구요.
일본은 아직 재고가 많더군요.
킹스맨 영화 보면 첫부분에
다리에 칼달린 여자한테 몸이 반쪽으로 잘려
죽는 남자가 한모금 마시고 죽은 술이
1962산 달모어라고 말하는 장면이 나오거든요.
그런데 실제로는 1962산 빈티지 달모어는
없고. 62년 숙성란 달모어는 있는데..
그게 경매로 5~6천만원인가 했다고 했던가...ㅎ
글렌드로낙은 이번에 증류소가 팔렸더군요.ㅠ
우드포드 리저브 버번 위스키 만드는 회사에서
샀더라구요. 앞으로 어떻게 될런지...
글렌드로낙은 셰리 계열 위스키로 유명해요.
페드로 히메네스. 올로로소 셰리 와인 캐스크에
숙성한 정규 라인업들로 유명하기도 하고
싱글 캐스크는 종류가 많구요.
마데이라 와인 캐스크 숙성도 있던가..
단맛에 셰리향이 일품인 위스키인데..
오피셜 보틀로는 15년 리바이벌이
무난했습니다.18년 앨러디스도 괜찮구요.
도수가 좀 높은 글렌드로낙 캐스크 스트렝스도
맛있더라구요.
여유가 많다면 20년 숙의 싱글 캐스크를 접해
보고 싶은데 아직 잔술로도 마셔보진 못했습니다만
대체로 평이 좋더라구요.
믿고 마시는 위스키라고 하는 표현이..ㅎ
국내에 저렴한 스페인산
피노 셰리 와인이 있었습니다.
홈플러스에서 독점으로 저렴한 가격에
판매를 했었는데 작년 봄인가 판매를
중단했거든요. 왜냐하면 한국인들 입맛엔
떪은 맛의 화이트 와인은 비선호하기 때문에
판매가 매우 저조하였습니다.
단맛의 와인은 날이 갈수록 매출이 오르는
구조라고 하더라구요.
국내에서 피노 셰리 와인과 올로로소 셰리 와인을
구하려면 리쿼샵을 찾아 가야하는 수고스러움이
생기기도 하더라구요.
셰리 캐스크 부족으로 각 증류소에서는 셰리를
대체하려고 마데이라 와인. 포트 와인 캐스크에서도
숙성하기도 하고. 프랑스의 귀부와인 소테른 와인
캐스크에도 숙성. 이탈리아 발롤로 와인 캐스크에서도
숙성하고. 프랑스의 까베르네 쇼비뇽 와인에도
숙성하기도 하고 하지만..
셰리 캐스크에 숙성된 위스키의 엘레강스함이
강했기 때문에 한번 중독 되면 그 맛을 잊기
어려운거 같습니다. 그렇다고 저눈 셰리충은 아니지만..
피트함도 좋아하구여.
피트의 최고봉인 브룩라딕 옥토모어 6.3을
마셔보진 못했네요. 페놀 수치 258ppm이라
아주 강력한 요오드의 향..
병원 소독약향이 강할듯 한데...ㅎ
마셔본 사람들에 의하면 의외로 스모키한 향도
강해서 그렇게 강력한 피트함인지는 모르겠다는
평이 있더군요. 아드벡. 라프로익.라가불린의
페놀수치 40ppm에 비하면 강력한 피트이긴한데..
가격도 일반 아일라 계열보단 높은편이라..
그가격대에선 다른 선택의 폭이 넓어서
쉽게 맛을 보지 못했습니다.
이 세상에 맛없는 술은 없고 더 맛있는 술만 있다란
말이 있더군요.
세상에 마실 술은 많은데 언제나 마셔볼수 있을런지..ㅎ